반응형
연금저축 vs IRP, 어디에 넣어야 세금 덜 낼 수 있을까?
세테크가 고민이라면 꼭 알아야 할 연금 비교
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 시즌마다
"세금 좀 줄일 수 없을까?" 고민해본 적, 한 번쯤 있으시죠?
그럴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바로
"연금저축과 IRP(개인형 퇴직연금)"입니다.
두 상품 모두 세액공제 혜택이 있고, 은퇴 이후 노후 대비 자산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
세테크와 노후준비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대표적인 금융상품이죠.
그런데 문제는...
둘 다 가입해도 되는 건지, 하나만 해야 되는 건지, 어느 쪽이 유리한지
헷갈리기 시작합니다.
오늘은 두 상품의 차이점과
“어디에 얼마나 넣어야 세금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”까지
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.
▷ 공통점부터 간단히 정리해볼게요
항목 | 연금저축 | IRP |
세액공제 한도 | 연 400만 원 | 연 700만 원 (연금저축 포함 총합) |
세액공제율 | 13.2~16.5% | 동일 |
연금 수령 가능 연령 | 만 55세 이후 | 만 55세 이후 |
중도 인출 시 | 기타소득세 발생 | 기타소득세 + 퇴직소득세 대상 |
→ 둘 다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대상이지만
그 중 연금저축 400만 원 + IRP 300만 원 조합으로 넣는 게 일반적입니다.
728x90
▷ 어떤 사람에게 어떤 상품이 유리할까?
① 직장인 & 자영업자 모두 공통적으로
- 일단 연금저축을 먼저 400만 원 채우는 게 기본
- 세액공제율이 동일하므로 먼저 연금저축을 채우고,
- 추가로 여유가 있다면 IRP에 300만 원을 더 넣는 구조가 일반적입니다.
② 퇴직금이 없는 프리랜서나 자영업자
- IRP는 퇴직연금 기반이라 중도 해지 시 조건이 엄격
- 연금저축이 유연한 운용 가능, 해지도 상대적으로 수월
③ 퇴직금을 IRP로 받은 경우
- 이미 IRP 계좌가 있다면 같은 계좌에 개인적으로 추가 납입 가능
- 이 경우는 추가 혜택을 받기 위해 IRP에 채워 넣는 것도 전략
▷ 가장 유리한 조합은?
→ 연금저축 400만 원 + IRP 300만 원 = 총 700만 원 세액공제 한도 채우기
- 이 구조로 연 700만 원 납입 시,
최대 115,500원(13.2%) ~ 148,500원(16.5%)의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 - 세전 기준으로 보면,
연 수익률 2~3%의 적금보다 훨씬 유리한 "세금 기반 수익률" 확보 가능
▷ 주의할 점
항목 | 주의 내용 |
중도 해지 | 16.5%까지 세액공제 받은 금액의 일부를 다시 토해내야 함 |
연금 수령 시 세금 | 연금 수령 시에도 일부 과세 (연금소득세) 발생 |
투자 성격 | 펀드·ETF 등 변동성 있는 상품 포함 가능 → 수익률은 보장 아님 |
▷ 연금저축과 IRP는 ‘세테크의 양날개’
세금 아끼고 노후 자산까지 준비할 수 있는 국민 금융상품인
연금저축과 IRP.
두 상품은 ‘둘 중 하나’가 아니라, ‘두 개 조합’이 정답입니다.
소득이 있는 누구든, 매년 700만 원을 이 구조로 꾸준히 납입한다면
단순한 세금 절감 이상의 장기 복리효과도 함께 누릴 수 있죠.
→ 700만 원이 부담스럽다면,
연금저축만으로 시작해도 충분합니다.
중요한 건 지금 시작하는 거예요.
반응형
'정보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신용점수 올리면 뭐가 달라지나요? (0) | 2025.04.22 |
---|---|
예·적금 vs ETF: 초보를 위한 목돈 굴리기 전략 (0) | 2025.04.21 |
고금리 시대, 부채는 어떻게 정리해야 할까? (0) | 2025.04.21 |
2025 조기 대선 테마주 총정리 (0) | 2025.04.21 |
2025년, 디지털화폐(CBDC)는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줄까? (0) | 2025.04.20 |